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티스토리 블로그를 구글서치콘솔에 등록하기 

    티스토리블로그의 '관리' 에 들어갑니다. 왼쪽 메뉴에 ' 플러그인' 이 있습니다. 플러그인에 들어가서 마우스로 조금 내리면 '구글서치 콘솔' 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1. 티스토리 관리 '플러그인' 

     

    티스토리플러그인티스토리플러그인구글서치콘솔연결

     

     

    왼쪽에서 보시면 '구글 서치콘솔' 을 '클릭' 합니다. 그리고 '계정 연결하기' 를 클릭합니다.

     

    구글서치콘솔계정연결하기

     

     

    '계정 연결하기' 를 클릭하면 '구글이메일 계정 선택' 화면이 나옵니다. 구글이메일계정 선택 하시면, 티스토리 서비스로 로그인할 것인지 물어봅니다. '계속' 클릭합니다.

     

     

    구글이메일계정입력티스토리서비스공유

     

     

     

    '계속' 클릭하면 티스토리 액세스 항목 '모두체크' 해줍니다. 그리고 아래 계속 버튼 클릭 합니다. 그러면 나의 티스토리 주소 내용이 연결되었습니다. 확인 누릅니다.

     

     

    티스토리엑서스추가내용체크구글계정연결완료화면

     

     

    '확인'을 누르면 구글 서치콘솔에 올바르게 등록되었습니다.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까지는 구글서치콘솔에 회원가입 한 것과 같습니다. 본격적인 연결 작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서치콘솔에서 추가작업

    추가작업 첫번째, 계정 연결화면에서 '서치콘솔 바로가기' 를 클릭해야 합니다. 아래 화면처럼 '서치콘솔 바로가기'를 클릭가능 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곳을 클릭합니다.

    서치콘솔바로가기유알엘접두어입력

    서치콘솔로 접속이 되면, 먼저 작업할 것은 'URL접두어 등록'이 먼저입니다. 따라서 마우스로 옆에 있는 URL 접두어를 클릭하시면 입력할 수 있게 활성화됩니다. 일반적으로 사이트 등록을 하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도메인 등록은 나중에 해도 됨으로 지금은 패스합니다.

    자신의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합니다. 예를 들면 abcd2024.tistory.com이라고 한다면 이 url 주소를 입력합니다. 앞에 'https' 꼭 함께 입력해야 합니다.

    티스토리 관리 화면에 자신의 url을 확인할 수 있으니, 거기서 복사해서 붙여 넣기 해도 됩니다. 자신의 주소를 입력하고 '계속' 버튼을 누르면 '소유권이 자동으로 확인됨'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치콘솔 소유권확인

     

     

     

    여기서, '속성으로 이동' 을 클릭하시면  서치콘솔 속성검색에 자신의 티스토리 주소가 보이게 됩니다. 그러면 등록이 된 것입니다. 그리고 티스토리 화면에 있는 '적용' 버튼을 마지막으로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 화면처럼 티스토리 블로그 플러그인에서 '구글서치 콘솔' 이 '사용 중' 이라고 뜹니다.

     

     

    서치콘솔사용중

     

     

     

     

     

     

    3. 티스토리에 메타테그 붙여넣기

    구글 서치 콘솔을 잘 사용하려면 마지막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서치콘솔에 있는 '메타테그''티스토리 블로그' '복사 붙여 넣기'를 해야 하는 작업입니다.

    먼저 구글 서치 콘솔에 다시 갑니다. 속성에 있는 주소를 클릭하시고, 아래로 마우스를 내리면 '설정' 화면이 있습니다. 아래 화면처럼 '주소' 클릭하시고 '설정' 을 클릭하세요.

     

    구글서치콘솔속성서치콘솔설정

     

     

    ▷그러면  아래 화면과 같이 소유권인증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사용자 및 권한'을 누르면 소유자 이메일과 권한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우측 끝에 ' ⋮ '  (추가작업)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소유권세부인증정보'가 뜨는 걸 확인할 수 있는데요. '소유권세부인증정보'를 클릭합니다.

     

    사용자및 권한

     

     

     

     

     

    소유권인증 세부정보에서 HTML태그를 복사할 수 있는데요. 이걸 티스토리 스킨 편집에서 html 편집을 눌러서 붙여 넣기 하면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조금 헷갈리는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소유권 인증 세부정보'를 클릭했는데 맨 처음 뜨는 화면이 아래 사진과 같이 

    ①권장확인방법 이 먼저 화면에 보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메타테그가 아닌 '메타파일' 만들어서 업로드하는 방법인데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지금 메타태그를 찾아서 복사 붙여 넣기를 해야 하기 때문에

    ②번과 같이 '다른 확인 방법'을 클릭해서 메타테그를 찾는 것입니다. 마우스로 스크롤해서 조금 내리면 '다른 확인 방법'을 클릭할 수 있습니다. HTML태그를 사이트에 추가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HTML파일이 아닌 HTML태그를 복사하는 것이니, 파일은 선택하지 마시고, 테그를 선택하면 됩니다.)

     

    메타테그소유권확인

     

     

    HTML 테그를 복사하기를 클릭하시고, 티스토리 블로그 스킨편집으로 이동합니다.

    티스토리 스킨편지 'html편집' 화면에서 <head> 아래에 붙여 넣기 하면 됩니다. <head>에서 엔터 한번 치시면 줄 바꿈이 됩니다. 줄 바꿈 한번 하시고 붙여 넣기(ctrl+v) 하시면 됩니다.

     

    티스토리스킨편집

     

     

     

    ▷그러면 아래 화면과 같이 '메타테그'가 잘 들어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편집화면 우측 위에 있는 '적용' 버튼 클릭 하시면 구글서치콘솔 연결이 모두 완료가 됩니다.

     

    티스토리스킨편집 붙여넣기-적용

     

     

    마무리

     

    구글계정연결하기 에서 '적용'을 먼저누르고 나중에 누르고는 관계가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구글서치콘솔에 연결해서 소유권인증이 되는 것과 메타테그를 티스토리블로그에 복사 붙여넣기가 완료가 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주의할 점은 메타테그를 확인할 때 들어가는 방법만 주의하시면 됩니다. 소유권 확인 에서 "권장사항"이 아닌, "다른 확인방법"을 클릭해야 메타태그를 확인할 수가 있다는 점입니다. HTML태그에서 나와있는 태그를 복사해서, 티스토리 블로그 스킨편집으로 들어가서 head 아래에 붙여 넣기하고 적용 누르면 구글서치콘솔 연결은 모두 완료가 됩니다.

    지금 까지 티스토리 블로그를 구글서치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